Member

Comprehensive documentation to help you get started with OpsNow

Need More Help?

More Questions?

For more information about OpsNow, visit our knowledge base

Contact Support

Our team is here to help with any questions you may have!

Member
Organization
Cloud Accounts
Billing
Security
Setting
Support

조직(Organization)이란 무엇인가요?

OpsNow의 조직(Organization)은 클라우드 자산을 팀, 부서, 프로젝트 단위로 분리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운영 공간입니다. 하나의 회사(Company) 계정 내에서 최대 10개의 조직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조직은 역할 기반 사용자 권한 설정을 통해 지정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됩니다.

조직 단위의 클라우드 관리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니즈를 해결해줍니다:

  • ✅ 클라우드 비용을 조직별로 명확히 구분하고 싶은 경우
  • ✅ 사업부별 클라우드 사용량 및 예산을 따로 보고서로 관리하고 싶은 경우
  • ✅ 외부 파트너와 리소스를 공유하되, 내부 보안 통제를 유지하고 싶은 경우
  • ✅ 복수 클라우드 계정을 사용하는 팀을 논리적으로 분리하고 싶은 경우

OpsNow의 조직 기능을 활용하면 조직별로 다음과 같은 항목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클라우드 비용 내역 및 절감 현황
  • 📊 리소스 사용량 및 비정상 지표
  • 🔐 정책 설정 및 보안 컴플라이언스

또한, 조직별로 계정 연동, 멤버 초대, 정책 설정 등을 각각 관리할 수 있어 복잡한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책임 분담과 보안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클라우드 구조를 가진 기업, 또는 부서별 예산/리소스 관리를 세분화하고자 하는 팀에게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OpsNow 계정을 삭제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OpsNow에서는 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으려는 사용자를 위해 계정 삭제(회원 탈퇴) 기능을 제공합니다.
계정 삭제는 본인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며, 삭제 완료 시 해당 계정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삭제됩니다.

✅ 계정 삭제 방법:

  1. 좌측 메뉴에서 [Profile] 메뉴로 이동합니다.
  2. 페이지 하단으로 스크롤하여 Delete Account 섹션을 찾습니다.
  3. [Delete]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화면에 표시되는 안내 메시지와 삭제 경고 문구를 확인한 뒤, 삭제 요청을 최종 승인하면 계정 삭제가 완료됩니다.

⚠️ 주의사항:

  • 계정 삭제 후에는 모든 사용자 데이터, 설정 정보, 활동 이력 등이 복구되지 않습니다.
  • 동일한 이메일 주소로 다시 가입하더라도 기존 데이터는 되살릴 수 없습니다.
  • 조직 관리자의 계정일 경우, 삭제 전 별도의 권한 이양 또는 조직 해지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User Name)은 어떻게 변경하나요?

OpsNow에서는 계정의 **사용자 이름(User Name)**을 직접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식별 및 팀 간 협업 시 표시되는 이름입니다.

사용자 이름을 변경하려면 아래 절차를 따라주세요:

  1. 좌측 메뉴에서 [Profile] 항목을 클릭합니다.
  2. 상단 영역의 User Name 입력란에 원하는 이름을 입력합니다.
  3. 입력 후 우측의 [Save] 버튼을 클릭하면 즉시 반영됩니다.

변경된 사용자 이름은 다음 영역에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대시보드, 조직원 목록 등 서비스 내 사용자 식별 영역
  • SSO를 제외한 일반 로그인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이름
  • 관리자 또는 팀원이 사용자 계정을 확인할 때 표시되는 정보

💡 사용자 이름은 이메일과 무관하게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며, 계정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 메뉴만 볼 수 있는 제한적인 역할(Role)을 만들 수 있나요?

OpsNow에서는 ‘커스텀 역할(Custom Role)’ 기능을 통해 특정 메뉴에만 접근 가능한 제한적인 권한을 가진 역할을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Billing, Resources, User Management 등 특정 메뉴에만 보기(View) 또는 편집(Edit)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역할 생성 시, 메뉴별 접근 권한을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어 복잡한 조직 구조나 외부 파트너 운영 환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한 메뉴 노출을 차단하고,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Principle)**을 실현하여 보안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이 기능은 회계, 보안, 인프라 등 부서별 업무 분담이 명확한 조직에서 특히 유용하며, 실무에 꼭 필요한 메뉴만 제공함으로써 운영 실수나 정보 노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조직별로 다른 멤버 구성을 빠르게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OpsNow에서는 새로운 조직(Organization)을 생성할 때, 사용자와 역할(Role)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어 멤버 구성을 빠르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정의된 Role 템플릿을 불러오거나, 사용자 그룹 설정을 복제하여 조직별 권한 체계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조직 생성 단계에서 사용자 초대 및 역할 할당 가능
  • 반복적인 설정 없이, 팀·부서 단위 권한을 일괄 적용할 수 있음
  • Role 기반 최소 권한 원칙을 실현하며 보안성도 함께 강화

📌 이 기능은 다수의 조직을 운영하거나 글로벌 팀을 관리하는 환경에서 설정 속도를 크게 단축시키고, 관리 편의성과 보안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계정을 어떻게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할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조직 내 사용자 역할이 종료되었거나 외부 협력 관계가 끝났을 때, 해당 사용자를 조직에서 제거(삭제)하여 클라우드 정보 접근 권한을 즉시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보안 통제와 책임 추적을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 사용자 삭제 방법

  1. **좌측 메뉴에서 [Settings] > [Organization]을 클릭합니다.
  2. 삭제하려는 조직을 선택해 상세 페이지로 진입합니다.
  3. 상단의 [Members] 탭을 선택합니다.
  4. 사용자 목록에서 삭제 대상의 우측 ‘X’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사용자가 조직에서 제거됩니다.

🔒 삭제 시 유의사항

  • 조직에서 사용자를 제거해도 OpsNow 계정 자체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 조직에서 제외된 사용자는 해당 조직의 모든 클라우드 리소스, 비용, 설정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어느 조직에도 속하지 않은 계정은 [Settings] 메뉴 외의 모든 서비스 기능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사용자 계정 자체를 완전히 삭제하거나 비활성화하려면 별도의 계정 관리 절차가 필요합니다.

📌 이 기능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반드시 활용해야 합니다:

  • 퇴사자 처리
  • 외주/파트너 계약 종료
  • 팀 내 역할 변경으로 접근 권한 제한이 필요한 경우

조직 오너와 일반 사용자 초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조직 내 사용자 초대 시 “오너(Owner)”와 “일반 사용자(General Invitation)”를 명확히 구분하여 초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안 민감도를 고려한 세분화된 권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 오너(Owner) 초대

  • 조직 생성 및 삭제, 클라우드 계정 연결/해제, 역할(Role) 생성 및 편집 등
    조직 전체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상위 권한을 보유합니다.
  • 보안이나 결제, 통합 정책 관리 등 민감한 항목의 접근은
    오직 오너만 수행 가능하도록 제한되어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조직 관리자, 보안 책임자, 총괄 운영자에게 부여됩니다.

✅ 일반 사용자(General Invitation) 초대

  • 특정 조직 내에서의 읽기(Read Only) 또는 쓰기(Read & Write) 역할을 선택하여 초대할 수 있습니다.
  • 초대 시 기본 역할을 지정하며, 이후 필요에 따라 역할 변경이 가능합니다.
  • 팀원, 외부 파트너, 프로젝트 단위의 실무자 등을
    필요한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 초대할 수 있어 보안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보안 관점 권장 사항:

  • 조직 전체 설정이나 비용/정책 변경이 가능한 항목은
    반드시 오너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수행하도록 제한하세요.
  • 외부 협력사, 인턴 등은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초대하여 운영 환경을 보호하세요.

조직별로 서로 다른 클라우드 환경을 운영 중입니다. 사용자 접근 제어는 어떻게 하나요?

OpsNow FinOps Plus는 멀티 조직(Organization) 구조를 지원하여, 하나의 계정에서 여러 클라우드 환경을 분리 운영하고 조직 단위로 세분화된 접근 제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조직별 클라우드 분리 운영 시 권한 제어 방법:

  • 조직(Organization) 단위 접근 분리:
    각 조직은 독립된 클라우드 계정(AWS, Azure, GCP 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해당 조직에만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데이터 열람이 가능합니다.
  • 조직별 역할(Role) 지정:
    같은 사용자라도 조직별로 역할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예를 들어 A조직에서는 Admin, B조직에서는 Read-only로 운영 가능합니다.
  • 운영 격리와 보안 강화:
    하나의 OpsNow 계정을 사용하더라도, 조직 간 데이터와 리소스는 철저히 분리되어 운영되므로 보안상 안전하며, 외부 감사 시에도 명확한 책임 추적이 가능합니다.
  •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권한 구조:
    사용자 정의 역할을 통해 조직 내 메뉴, 기능, 리소스 단위까지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 대규모 기업이나 MSP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에 유용합니다:

  • 계열사, 팀, 사업부별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분리 운영하는 기업
  • 동일 계정 내 다수의 프로젝트를 조직별로 격리 관리해야 하는 경우
  • 보안성과 책임 추적이 중요한 금융·공공·MSP 환경

사용자 그룹을 활용하면 어떤 점에서 효율적인가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사용자 수가 많은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계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그룹(User Group)’ 기능을 제공합니다.
비슷한 역할이나 업무 범위를 가진 사용자들을 그룹화하면, 권한 설정, 조직 배정, 메뉴 접근 제한 등을 일괄 관리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사용자 그룹 활용 시 주요 효과

  • 역할(Role) 및 권한의 일괄 적용:
    그룹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역할과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 개별 계정마다 반복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조직(Organization) 단위 배정 간소화:
    부서·팀 단위로 그룹을 만들어 해당 조직에 일괄 배정하면, 신규 입사자나 외부 협력사 계정 추가 시 훨씬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정책 일관성 유지:
    특정 그룹에는 ‘읽기 전용’, 다른 그룹에는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는 식으로, 정책 기준을 명확히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운영 효율성 향상:
    사용자 수가 많을수록 수작업으로 권한을 설정하는 데 시간이 많이 들 수 있는데, 그룹 기능을 활용하면 관리자가 한 번의 클릭으로 여러 사용자 계정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

  • 팀, 조직, 프로젝트별 사용자 권한을 표준화하고 싶은 경우
  • 신규 사용자 추가 시 설정을 반복하는 작업을 줄이고 싶은 경우
  • 계정 수가 많은 대규모 조직에서 효율적인 계정 관리 방안을 찾고 있는 경우

조직 내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 사용자와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외부 사용자와 데이터를 공유할 때도 조직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교한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외부 인력에게는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기능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외부 사용자 보안 공유 방법:

  • 읽기 전용(Read Only) 권한 설정:
    외부 사용자를 초대할 때, 권한을 ‘Read Only’로 지정하면 인프라 설정을 변경하지 못하고 데이터 조회만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조직(Organization) 단위 접근 제어:
    특정 조직만 선택해 접근을 허용할 수 있어, 외부 사용자가 다른 프로젝트나 팀의 데이터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맞춤 역할(Role) 생성 기능 활용:
    사용자 정의 역할을 생성해 메뉴별, 기능별 접근 범위를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용 데이터만 열람 가능한 역할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에 유용합니다:

  • 외부 컨설턴트나 파트너와 클라우드 인프라 현황을 공유해야 할 때
  • 특정 프로젝트 단위로 제한된 범위에서 리소스 현황을 공유해야 할 때
  • 내부 직원과 외부 사용자의 권한을 명확히 분리해 보안 사고를 방지하고자 할 때

새로운 사용자를 조직에 초대하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신규 팀원 또는 외부 협력자를 조직에 안전하게 초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 초대는 이메일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진행되며, 조직 내 보안과 권한 관리를 위해 역할(Role)과 소속 조직(Organization)을 함께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초대 절차 안내:

  1. [User Management] 메뉴에서 ‘+ Invite’ 버튼 클릭
  2. 초대할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입력
  3. 해당 사용자의 소속 조직(Organization) 선택
  4. 사용자에게 부여할 역할(Role) 지정 (예: Member, Admin 또는 커스텀 역할)
  5. [Invite] 버튼 클릭 시, 이메일을 통해 초대장이 발송됩니다.

🛡️ 보안 및 권한 관리 팁:

  • 외부 사용자 초대 시 읽기 전용(Read Only) 권한을 설정해 최소한의 접근만 허용할 수 있습니다.
  • Owner 초대는 조직의 전체 권한을 갖기 때문에, 내부 관리자 수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만 사용하세요.
  • 필요 시 조직 단위로 권한을 분리해 서로 다른 팀/사업부 운영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권한 유형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사용자 권한을 Owner, Admin, Member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직 내 역할에 따라 접근 범위를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Owner (조직 소유자)

  • 조직 전체를 대표하는 최상위 권한을 가집니다.
  • 다음 작업이 가능합니다:
    • 사용자 초대 및 권한 변경
    • 조직 생성 및 관리
    • 클라우드 계정 등록/삭제
    • 결제 정보 및 청구 관련 설정 관리
  • 일반적으로 기업 관리자, 클라우드 운영 책임자에게 부여됩니다.

✅ Admin (관리자)

  • 해당 조직 내에서 일부 설정과 사용자 관리 권한을 가집니다.
  • 다음 작업이 가능합니다:
    • 같은 조직 내 사용자 초대 및 삭제
    • 클라우드 계정 등록 및 조회
    • 리소스, 비용 데이터 열람 및 분석
  • Owner보다는 제한된 권한을 가지며, 팀장 또는 기술 운영 담당자에게 적합합니다.

✅ Member (일반 사용자)

  • 해당 조직의 클라우드 비용 및 리소스 정보 열람만 가능합니다.
  • 사용자는 리소스를 변경하거나 계정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 일반 실무자 또는 데이터 확인만 필요한 외부 파트너에게 적합합니다.

📌 이처럼 권한을 세분화함으로써, 역할에 맞는 최소 권한 원칙을 실현하고 조직 내 보안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초대할 수 있는 사용자 수에 제한이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조직(Organization)당 초대할 수 있는 사용자 수에 별도의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팀원, 부서원, 외부 파트너 등 다양한 사용자를 자유롭게 초대해 협업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는 초대 시 역할(Role)을 부여받게 되며,

  • ✅ Owner: 전체 조직 관리
  • ✅ Admin: 사용자 및 리소스 관리
  • ✅ Member: 리소스 및 비용 데이터 열람 전용
    으로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가 적용되어 있어, 초대 인원이 많아도 보안과 운영 통제가 명확하게 유지됩니다.

📌 OpsNow는 팀 규모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조직 내 여러 팀이 클라우드 환경을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외부 협력사와 안전하게 협업하는 데 매우 적합합니다.

하나의 회사 계정에서 여러 개의 조직을 생성할 수 있나요?

OpsNow에서는 하나의 회사 계정(Company) 아래 최대 10개의 조직(Organization) 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각 조직은 클라우드 비용 데이터, 리소스 사용량, 정책 설정 등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며, 팀이나 부서 단위로 클라우드 자산을 분리해 관리하려는 기업에 매우 적합합니다.

조직마다 접근 권한을 사용자별로 설정할 수 있어, 민감한 정보 접근을 제한하거나 역할별 데이터 가시성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본사 조직에서는 전체 비용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고, 각 지역 사업부 조직에서는 해당 리전의 클라우드 리소스만 별도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 회사 규모가 크거나 멀티팀 체계로 클라우드를 운영 중이라면, 조직 기능을 활용해 비용 효율성과 운영 보안을 동시에 강화해보세요.

조직(Organization)을 삭제할 수 있나요?

네, OpsNow FinOps Plus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조직을 직접 삭제할 수 있습니다. [Settings > Organizations] 메뉴에서 삭제하려는 조직을 선택한 후, 상세 페이지 하단의 [Delete Organization]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가 가능합니다.

🧩 조직 삭제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 클라우드 계정 정보 삭제: 해당 조직에 연동된 모든 AWS, Azure, GCP 클라우드 계정 정보가 함께 삭제됩니다.
  • 비용 및 리소스 데이터 삭제: 조직에서 수집된 모든 클라우드 비용 데이터, 리소스 사용 내역, 최적화 이력이 영구 삭제됩니다.
  • 복구 불가: 삭제된 데이터는 복구할 수 없으므로, 조직 폐기 전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보고서를 미리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사용자 권한 해제: 조직에 부여된 사용자 역할(Role) 및 권한 정보도 함께 제거되며, 해당 사용자는 조직에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습니다.

💡 조직 삭제는 언제 유용한가요?

  • 프로젝트 종료, 부서 통합, 클라우드 구조 변경 등으로 조직 단위를 정리해야 할 경우
  • 클라우드 계정 및 비용 데이터 정합성을 재구성하려는 경우
  • 최대 생성 가능 조직 수(10개)를 초과하여 신규 조직을 만들기 위해 기존 조직을 비우는 경우

✅ OpsNow에서는 조직 단위로 클라우드 비용을 분리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조직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 시 삭제하는 것이 운영 효율과 보안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사용자 계정을 비활성화(Deactivate)하는 것과 삭제(Remove)하는 것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사용자 계정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비활성화(Deactivate)’ 또는 ‘삭제(Remove)’ 방식으로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두 방식은 보안 목적은 같지만, 처리 방식과 결과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 비활성화(Deactivate): 임시로 접근 차단

  • 사용자의 계정은 시스템에 그대로 유지되며, 로그인은 가능하나 모든 서비스 기능 접근이 차단됩니다.
  • **나중에 필요 시 권한을 다시 복구(재활성화)**할 수 있어, 계정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 적합합니다:
    • 휴직자, 장기 미접속자
    • 외부 파트너와의 일시 중단
    • 보안 검토를 위한 일시적 접근 제한

❌ 삭제(Remove): 계정 영구 제거

  • 해당 사용자는 OpsNow 시스템에서 완전히 삭제됩니다.
  • 연결된 조직, 권한, 설정 등이 모두 사라지며, 서비스 재접속을 위해서는 다시 초대를 받아야 합니다.
  • 재사용 가능성이 없거나, 퇴사·계약 종료 등으로 완전히 계정 정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 요약

📌 사용하지 않는 계정을 방치하면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OpsNow에서는 정기적인 사용자 계정 점검과 권한 정리를 통해 조직의 정보 보호를 강화할 것을 권장합니다.

No items found.

약정 관련 보고서를 Excel 또는 CSV 형식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메뉴에서는 조직의 약정 현황과 활용 내역을 담은 데이터를 Excel(.xlsx) 또는 CSV 형식으로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재무팀, 클라우드 운영팀, 외부 감사 대응 등을 위한 보고서 작성 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다운로드 가능한 주요 데이터 항목

  • 약정 상세 내역 (약정 유형, 서비스, 계정, 리전, 구매일/만료일 등)
  • 현재까지의 사용률 (Utilization Rate)
  • 커버리지 비율 (Coverage)
  • 예상 절감 금액 및 ROI
  • 미이행 위험(Risk) 여부
  • 추천 약정 옵션 및 절감 예측

💡 주요 활용 예시

  • 월별 약정 활용 현황 보고서 제출
  • 부서별 약정 사용 분석 자료 공유
  • 비용 절감을 위한 약정 전략 재설계 회의 자료
  • 재무 회계 감사 시 증빙 자료 제공

📌 데이터는 필터 및 정렬된 상태 그대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현재 화면 기준으로 즉시 파일을 생성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또한, Recommendations, Coverage, Utilization, Inventory 탭별로 별도 저장도 가능합니다.

온디맨드 사용량이 높은 영역을 확인하고 약정 전환 기회를 찾을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기능은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온디맨드(비약정) 사용 비중이 높은 영역을 자동 식별하고, 해당 영역을 약정(Savings Plans, Reserved Instances 등)으로 전환했을 때의 예상 절감 효과를 수치로 제공합니다.

🔎 어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나요?

  • 서비스 또는 계정 단위로 온디맨드 비율 표시
    • 예: EC2, RDS, Aurora, Cloud SQL 등
  • 현재 온디맨드 지출 금액
  • 약정 전환 시 절감 가능한 예상 금액과 절감율
  • 약정 추천 옵션 (1년/3년, No Upfront/All Upfront 등 다양한 조건별 시뮬레이션)

💡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 예상 절감 효과를 기반으로 약정 가입 타이밍을 전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재무팀은 ROI 기반으로 약정 투자를 평가하고, 운영팀은 과잉 지출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커버리지가 낮은 영역에 대한 AutoSavings 연계 적용도 함께 검토할 수 있습니다.

📌 이 기능은 특히 온디맨드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해 "지금 약정을 도입하면 얼마를 절약할 수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약정 도입 시기와 규모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어떤 서비스 또는 계정에서 약정이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 Coverage 탭은 클라우드 환경 내 약정 커버리지 상태를 서비스별, 계정별, 인스턴스 유형별로 시각화하여 제공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조직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쉽게 식별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과잉 약정 식별 (Over-Provisioned Commitments)

  • 특정 계정 또는 서비스에서 약정이 100% 이상 커버되며, 실제 사용량보다 더 많은 약정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 이 경우 약정 금액이 낭비되거나 미이행 패널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약정 미적용 구간 식별 (Under-Covered Usage)

  • 일부 계정에서는 약정이 전혀 적용되지 않고, 전체 사용량이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과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이는 할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불필요한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시각적 대시보드 제공

  • Coverage 탭에서는 막대 그래프와 커버리지 비율 수치를 통해 리소스별 약정 적용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각 항목에는 온디맨드 비용, 약정 비용, 커버리지율이 명확히 표시되어 있어 과잉/부족 구간을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예시:

“Asia Pacific (Seoul) 리전의 Aurora MySQL 서비스에서 약정 커버리지가 125%로 과잉 상태이며, 반면 EC2 t3.medium 인스턴스는 온디맨드 사용 비중이 높아 약정 미적용 상태입니다.”

기대 효과

  • 불필요한 약정 비용 절감
  • 온디맨드 비용을 약정으로 전환하여 절감 효과 극대화
  • 계정/서비스 단위로 정밀한 약정 전략 수립 가능

새로운 클라우드 약정을 언제, 얼마나 추가로 가입하면 좋을지 추천해주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 Recommendations 탭클라우드 비용 최적화를 원하는 조직을 위해, 추가 약정 가입이 유리한 시점과 금액정량적 데이터 기반으로 제안합니다. 이 기능은 Savings Plans 또는 Reserved Instances 구매 여부를 고민 중인 팀에게 매우 실질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합니다.

이 분석은 OpsNow Insight AI가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 최근 3개월 평균 리소스 사용량
  • 기존 약정 활용률과 커버리지 분석
  • AI 기반 절감 예측 시뮬레이션

제공되는 추천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정량적 수치가 포함됩니다:

항목 설명
예상 절감 금액 약정 도입 시 월별로 절감 가능한 예상 비용
커버리지 상승률 현재 약정으로 커버되지 않는 비용을 커버할 수 있는 비율 증가
투자 대비 효율 (ROI) 해당 약정 도입 시 투자 대비 얼마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지 수치로 표시
권장 약정 유형 기간(1년/3년), 결제 방식(No Upfront, Partial, All Upfront) 등

💬 예시 추천 메시지:

“최근 3개월 평균 사용량 기준, $1,000/월 추가 약정 시 약 12%의 비용 절감 효과 예상. (ROI 4.5배, 커버리지 +8%)”

🔍 이처럼 OpsNow Insight AI는 조직의 실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소비 패턴을 정밀 분석하고 예상 절감 효과를 수치화하여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재무팀과 운영팀은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적 약정 결정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습니다.

약정 만료일이 다가오는 경우 미리 알림을 받을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기능은 약정(Reserved Instances, Savings Plans 등)의 만료 시점을 사전에 감지하고, 30일 전부터 만료 예정 약정을 리스트업해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합니다. 또한, 이메일 알림을 통해 주요 약정의 만료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기능은 중요한 약정이 만료된 후 갱신되지 않아 클라우드 리소스 비용이 On-Demand 요금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주요 기능

  1. 만료 30일 전 자동 감지 및 강조 표시
    • Inventory 탭에서 약정의 종료일을 기준으로 남은 기간이 30일 이내인 항목을 자동 분류하고, 별도 색상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2. 이메일 기반 사전 알림 기능
    • 사전 설정된 이메일 수신자에게 약정 만료 예정 목록이 포함된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발송합니다.
    • 조직 내 재무팀 또는 운영팀이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 갱신·전환 가이드 제공
    • 만료 예정 약정 항목에 대해, AutoSavings 전환 또는 신규 약정 추천이 함께 안내되어 빠른 의사결정을 유도합니다.

✅ 기대 효과

  • 만료된 약정을 제때 갱신하지 않아 할인 혜택 손실 발생하는 것을 방지
  • 약정 관리의 투명성 향상 및 리스크 최소화
  • 클라우드 비용 예측성과 예산 수립 정확도 향상

미이행(Underutilization) 위험이 있는 약정은 어떻게 식별할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기능은 약정된 리소스가 실제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Underutilization Risk로 자동 표시합니다. 이 기능은 약정이 미이행될 가능성이 높은 항목을 조기에 파악하고, 추가적인 비용 손실을 사전에 방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기능 상세 설명

  1. 실시간 약정 소진률(Commitment Utilization Rate) 모니터링
    • 약정별로 사용된 금액, 미사용 금액, 남은 기간 등을 분석해 현재 사용 속도에 비해 약정 이행이 어려운 경우 ‘Underutilization Risk’ 상태로 분류됩니다.
  2. 예상 미이행 항목 자동 표시
    • 커밋 대비 사용량이 낮거나, 남은 계약 기간 내 사용 완료가 어려운 패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경고 표시가 됩니다.
    • 예: 3년 Reserved Instance를 구매했지만 실제 리소스가 20% 미만만 사용 중일 경우.
  3. AI 기반 예측 분석
    • OpsNow Insight AI는 기존 약정의 사용 패턴과 리소스 변화 추이를 분석해, 향후 미이행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약정도 사전에 탐지할 수 있습니다.
  4. 경고 및 우선 조치 안내
    • Underutilization Risk가 감지되면 해당 항목에 대해 상세한 분석과 함께 리디자인 또는 AutoSavings 전환 등의 대응 전략을 안내합니다.

✅ 기대 효과

  • 미이행 위약금(Non-Compliance Penalty) 사전 회피
  • 조직 차원의 약정 낭비 방지 및 비용 최적화
  • 클라우드 자원 운영팀과 재무팀 간 협업 강화
    (미사용 리소스 전환/재계약 등의 결정이 빨라집니다)

우리 조직에 맞는 최적의 클라우드 약정(Savings Plans 또는 Reserved Instances) 구매 방식을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 Recommendations 탭은 조직의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AWS Savings Plans 또는 Reserved Instances에 대한 최적의 구매 옵션을 자동으로 추천합니다. 이 추천은 단순 패턴 기반이 아니라, OpsNow Insight AI가 적용된 고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공됩니다.

🔍 OpsNow Insight AI 기반 추천의 특징

  1. 데이터 기반 약정 시뮬레이션
    • 현재 사용 중인 인스턴스 유형, 리전, 플랫폼, 사용 빈도를 분석해 Savings Plans와 Reserved Instances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조합을 도출합니다.
  2. 정량적 수치 제시
    • 각 추천 옵션은 다음과 같은 수치 정보를 포함합니다:
      • 예상 절감액 (예: $984.95 /월)
      • 예상 커버리지율 (예: 94.84%)
      • 절감률(Savings Rate) 및 ROI 비교
      • 1년 vs 3년, No Upfront vs All Upfront 등 지불 방식에 따른 경제성 분석
  3. 비용 절감 + 유연성 균형 분석
    •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싶은 조직은 No Upfront 또는 Partial Upfront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최대 절감 효과를 원하는 조직은 All Upfront + 3년 옵션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OpsNow Insight AI는 이 각각의 옵션을 비즈니스 상황과 재무 제약에 맞게 수치로 비교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4. 투명한 의사결정 근거
    • 추천 근거는 대시보드에 OpsNow Insight AI의 분석 내용으로 명시되어 있어, 재무팀, 클라우드 운영팀이 내부 보고서나 승인 절차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객관적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핵심 효과

  • 불필요한 약정 지출 방지: 실제 사용 패턴에 맞는 약정만 추천
  • 클라우드 비용 절감 극대화: 예상 절감액과 커버리지로 구매 ROI 판단 가능
  • 투명한 구매 판단: AI 기반 수치와 해석 제공으로 신뢰성 높은 추천

사용 중인 약정이 제대로 활용되고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메뉴에서는 고객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AWS, Azure, GCP)와 체결한 약정(Reserved Instances, Savings Plans 등)의 실제 활용률(Commitment Utilization) 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보여줍니다.

각 약정 항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보가 시각적으로 제공됩니다:

  • ✅ 현재까지 사용된 약정 금액
  • ✅ 남은 미사용 금액 또는 비율
  • ✅ 약정 기간 대비 소진 속도 (Utilization Rate over Time)
  • ✅ 잔여 일수 대비 소진 예측
  • ✅ 온디맨드 사용 여부 포함 여부

또한 약정 사용률이 일정 기준 이하(예: 50%)인 경우, 낮은 활용률 경고(Below Threshold Alert) 도 함께 표시되어
💡 미이행 리스크(Risk of Underutilization) 가 있는 약정을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관점에서 불필요한 약정 낭비를 줄이고, 실제 사용에 맞는 효율적인 약정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

약정 관리(My Commitments)는 어떤 기능인가요?

My Commitments는 클라우드 약정(Savings Plans, Reserved Instances, Committed Use Discounts 등)의 활용도를 높이고 비용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통합 관리 기능입니다.

OpsNow FinOps Plus의 My Commitments 기능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 줍니다:

✅ 어떤 문제를 해결해주나요?

  • 약정이 잘 활용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
    → 약정 사용률(Usage Rate), 절감액, 절감률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낭비되는 약정이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약정을 언제, 어떤 조건으로 다시 사야 할지 판단이 어렵다
    → 리소스 사용량 패턴 기반의 약정 추천 기능(Recommendations) 을 통해 1년/3년, 선불/후불 조건 등 최적의 조건을 안내합니다.
  • 약정이 적용되지 않는 리소스가 많아 비용이 과다 지출되고 있다
    → 약정 적용률(Coverage)을 시각화하고, 미적용 영역을 식별해 On-Demand 비용 절감을 유도합니다.
  • 곧 만료되는 약정을 놓쳐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 약정 만료일과 남은 기간을 한눈에 확인하고, 재계약 타이밍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주요 기능 요약

기능 영역 설명
Utilization 약정 사용률, 절감률, 절감액 분석 및 저활용 약정 식별
Coverage 커버리지율(약정 적용 비율) 확인 및 On-Demand 비용 비교
Recommendations 현재 사용량 기반 최적의 약정 조건 추천
Inventory 보유 약정 내역 조회 (시작일, 종료일, 지불 방식, 인스턴스 타입 등)

📌 My Commitments는 AWS, Azure, GCP 모두를 지원하며, 조직의 약정 구매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커버리지 누락, 약정 낭비, 만료 관리 누락 등의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해 보다 전략적인 클라우드 비용 운영이 가능합니다.

결제 미납으로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었어요. 청구서(인보이스)를 확인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요금 미납 또는 결제 실패로 인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기 구독이 일시 중단되며 기능 접근이 제한되지만, 청구 내역(Invoice) 확인은 계정 권한에 따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인보이스를 확인하려면?

  • 일반 사용자는 직접 인보이스를 열람할 수 없습니다.
    대신, [Billing] 메뉴 접근 권한을 가진 Owner(조직 소유자) 권한 사용자를 통해 요청해야 합니다.
  • Owner는 [결제 > 청구 담당자(Billing Contacts)] 메뉴에서,
    인보이스 확인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이 등록되면, OpsNow 계정이 없는 외부 사용자라도 해당 주소로 청구서 알림 메일을 수신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 경우에도, 인보이스 열람은 외부 파트너나 재무 담당자가 받을 수 있도록 유연하게 제공됩니다.
청구 관련 협업을 위한 비계정 사용자 접근 방식(Billing Contact 구조)도 지원하고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세요.

결제 카드를 변경하고 싶어요.

OpsNow FinOps Plus의 결제 카드는 고객의 리전(지역)에 따라 변경 방식이 다르게 운영됩니다.

✅ 미국 리전 고객의 경우
[Billing > Payment Method] 메뉴에서 새로운 카드를 추가하고, 기존 카드 대신 [Set Default] 버튼을 클릭해 기본 결제 수단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기존 카드는 [Remove] 버튼으로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 중인 카드가 자동 결제에 연결되어 있다면 먼저 다른 카드로 기본 설정을 변경한 후 삭제해 주세요.
→ 카드 정보는 Stripe를 통해 안전하게 저장 및 관리됩니다.

✅ 한국 리전 고객의 경우
결제 수단은 StepPay를 통해 운영되며, 시스템에서 직접 카드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 결제 카드 변경을 원하시는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신속히 처리해 드립니다.
→ 카드 변경 시, 등록된 이메일 및 사업자 정보 확인 절차가 함께 진행됩니다.

등록된 결제 카드를 삭제하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결제 > 결제 수단] 메뉴를 통해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직접 삭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카드가 현재 사용 중인 서비스의 결제 수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로 삭제할 수 없습니다.

✅ 카드 삭제가 제한되는 경우

  • AutoSavings 또는 Standard 요금제 구독 결제에 사용 중인 카드일 때
  • 해당 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자동 결제 오류 및 서비스 중단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전한 카드 삭제 절차

  1. [결제 > 결제 수단] 메뉴에서 삭제하려는 카드를 확인합니다.
  2. 해당 카드가 어떤 서비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아래 중 하나를 먼저 진행해 주세요:
    • ✅ 해당 서비스의 결제 수단을 다른 카드로 변경
    • ✅ 해당 서비스 구독을 해지
  4. 모든 연결이 해제된 후, 해당 카드를 삭제(Delete) 버튼으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등록된 카드를 안전하게 삭제하려면, 먼저 해당 카드가 사용 중인 서비스의 결제 수단을 다른 카드로 변경하거나, 구독을 해지한 후 삭제해 주세요.

결제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OpsNow FinOps Plus는 고객의 리전(지역)과 요금제(Plan)에 따라 결제 방식이 달라집니다.
각 요금제별로 아래와 같은 결제 수단이 제공됩니다:

✅ Standard 요금제

  • 미국 리전 고객
    구독 시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Stripe를 통해 자동 결제가 처리됩니다.
    Stripe는 글로벌 SaaS 기업들이 널리 사용하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결제 게이트웨이입니다.
  • 한국 리전 고객
    구독 시 입력한 신용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StepPay를 통해 자동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원화 결제, 국내 세금계산서 발행 등 한국 전자결제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입니다.

✅ Premium / Enterprise 요금제

  • 모든 리전(지역) 고객에게 공통 적용
    Premium 및 Enterprise 요금제는 계좌이체(Bank Transfer) 방식이 기본입니다.
    고객사의 회계 정책에 따라 세금계산서 또는 인보이스(Invoice)를 발행하며,
    청구 주기(예: 매월, 분기별) 및 지급 조건(Net 15, Net 30 등)은 계약 시 협의합니다.

이 방식은 글로벌 B2B SaaS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업 간 청구(B2B invoicing) 방식이며,
대규모 고객사 또는 보안·통제 요건이 높은 조직에 적합한 구조입니다.

📌 요금제 업그레이드, 결제 조건 변경, 인보이스 요청 등은
[Settings > Billing] 메뉴 또는 전담 고객지원 채널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결제가 실패했거나 지연되고 있어요.

결제가 실패한 경우, 등록된 카드가 만료되지 않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결제 > 결제 수단] 메뉴에서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유효한 결제 카드로 업데이트하면 1일 이내에 자동으로 재결제가 시도됩니다.

청구서 발행 후 30일 이상 결제가 지연되면 AutoSavings 서비스 이용이 중단되며, 최대 3개월간 미납 상태가 지속될 경우 구독이 자동 해지됩니다.
신속한 결제 진행을 권장드립니다.

OpsNow FinOps Plus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나요?

네, OpsNow FinOps Plus는 무료 체험 이벤트 기간 동안 처음 사용하시는 고객도 별도의 결제 정보 없이 서비스를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 체험 기간에는 다음과 같은 핵심 FinOps 기능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무료 체험에서 제공되는 주요 기능

  • 멀티 클라우드 비용 분석 및 시각화 (AWS, Azure, GCP)
  • 리소스 사용량 모니터링 및 최적화 권장
  • 예산 설정, 이상 비용 탐지, 정책 기반 보고서 등
  • 클라우드 비용 가시성 및 절감 인사이트 제공

📌 무료 체험은 일정 기간 동안 진행되는 이벤트에 한해 제공됩니다.
체험이 종료된 이후에도 OpsNow FinOps Plus를 계속 사용하고 싶으신 경우,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하여 유료 플랜으로 전환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무료 체험 이벤트가 종료된 상태라면,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세요.
데모(Demo) 진행을 통해 OpsNow 서비스 기능과 혜택을 직접 확인하실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립니다.

OpsNow는 어떤 항목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보관하나요?

OpsNow는 클라우드 SaaS 기반의 FinOps 플랫폼으로서, 서비스 제공, 계정 관리, 고객 지원, 보안 유지 등을 위해 다양한 개인정보 및 사용 데이터를 수집·보관하고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이용자의 동의, 관련 법령을 기반으로 안전하게 처리됩니다.

✅ 수집 및 보관되는 개인정보 항목

🟦 기본 식별 정보
  • 이메일 주소 (필수)
  • 이름
  • 회사명 및 부서
  • 전화번호
  • 사용 언어 설정
  • 결제 수단 정보 (카드 번호, 만료일 등)
🟦 고객 지원 및 운영 정보
  • 고객센터 문의 시 제출한 이메일 및 메시지 내용
  • 기술지원 요청 내역 및 첨부자료(스크린샷, 로그 등)
  • 사용자의 조직 정보 및 요청 처리 이력
🟦 접속 및 인증 정보
  • 로그인/로그아웃 일시
  • 접속 IP 주소
  • 브라우저 및 기기 정보
  • 인증 요청 기록(이중 인증 포함)
🟦 서비스 이용 기록 (확장 내용 반영)
  • 클라우드 자원 사용 내역 (Usage 메뉴 기반)
    • 사용 중인 인스턴스 목록, 상태(running, stopped, terminated)
    • 인프라 리전, 인스턴스 타입, OS, vCPU, 라이프사이클(온디맨드/예약/스팟 등)
  • 비용 분석 활동 기록 (Analytics 메뉴 기반)
    • 계정별 일/월별 비용 총합, 비용 구성 비율
    • 사용자 정의 분석(Custom Analytics), 태그 필터, 그래프 조작 내역
  • 최적화 추천 결과 및 실행 로그 (Optimization 메뉴 기반)
    • Downsizing 또는 Modernize 제안 이력 및 상태
  • UI 활동 로그
    • 필터 적용, 기간 설정, 대시보드 탐색 등 사용자의 시각화 활동 흐름

✅ 보안 보호 및 법적 근거

  • OpsNow는 수집된 모든 개인정보 및 서비스 기록을 암호화 저장 및 접근 제어 기반의 보안 시스템을 통해 보호합니다.
  • 보관 및 삭제 정책은 개인정보보호법, 전자금융거래법, 통신비밀보호법 등 국내외 법령에 따라 엄격하게 운영됩니다.

💡 사용자는 탈퇴 후 6개월 이내에 CS 또는 관리자에게 요청하여 데이터 백업 또는 조기 삭제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OpsNow는 고객 데이터를 얼마나 오래 보관하나요?

OpsNow는 고객 유형(유료/무료/Trial 여부) 및 데이터 항목별 성격에 따라 데이터 보관 기간 및 삭제 시점을 체계적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 전자금융거래법 등 관련 법령 및 글로벌 데이터 보안 기준에 따라 설정된 정책입니다.

✅ 일반 서비스 데이터 (Cost, Asset 등)

  • 유료 고객: 최소 13개월 이상, 최대 3년까지 데이터 보관
  • 무료 고객: Trial 이용 시점부터 최대 1년까지 보관
    → 예: 무료 체험 시작일로부터 30일 + 정식 가입 전 최대 유예기간 포함

이 항목에는 클라우드 비용, 리소스 사용량, 분석 이력 등이 포함됩니다.

✅ Billing 데이터 (결제 정보, 인보이스)

  • 유료/무료 고객 구분 없이, 계정 탈퇴 전까지 모든 결제 정보는 보관됩니다.
  • 이후에는 별도 복구 요청이 없는 한, 내부 정책에 따라 삭제되거나 비식별화 처리됩니다.

✅ 개인정보 항목

보관되는 주요 개인정보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필수 항목: 이메일, 성명, 회사명, 전화번호, 사용 언어, 카드 번호 등
  • 접속 정보: 로그인 IP, 브라우저 정보, 서비스 이용 기록
  • 고객 지원 요청 시 입력한 문의 내용 및 첨부 자료

👉 해당 개인정보는 계정 탈퇴 전까지 보관되며, 탈퇴 시점 이후에는 항목별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삭제됩니다:

항목 삭제 시점
회원 가입 이력 및 기본 정보 탈퇴 후 3개월 이내 삭제
결제 및 청구 관련 기록 탈퇴 후 5년 이내 삭제
고객 문의 및 상담 이력 탈퇴 후 3년 이내 삭제
클라우드 서비스 접속 기록 탈퇴 후 3개월 이내 삭제

✅ Trial 고객의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 Trial 사용자는 체험 종료 후 즉시 일부 데이터가 삭제되며,
  • 가입하지 않은 경우 최대 3개월 내 전량 삭제됩니다.
  • 단, 회사명/부서명 등 식별 정보는 6개월 이내 백업 목적 보관 후 삭제됩니다.

✅ 탈퇴 후에도 데이터 백업 또는 삭제 요청이 가능한가요?

  • 예, 탈퇴 후 6개월 이내에는 고객 요청 시
    📩 이메일을 통해 데이터 백업 파일을 전달하거나, 조기 삭제를 지원합니다.
  • 요청은 OpsNow 고객지원(CS) 또는 조직 관리자에게 직접 문의하시면 됩니다.

OpsNow는 고객의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투명한 데이터 보관·삭제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법적 컴플라이언스와 고객 신뢰를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중 인증(2FA, MFA)은 어떻게 활성화하나요?

OpsNow는 계정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이중 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MFA) 기능을 제공합니다.
MFA를 활성화하면 비밀번호 외에도 **1회용 인증 코드(OTP)**를 추가로 입력해야 하므로, 외부 침입 및 계정 탈취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이중 인증 활성화 방법:

  1. 좌측 메뉴에서 [Profile] 메뉴로 이동합니다.
  2. 하단으로 스크롤하여 Multi-Factor Authentication 영역을 찾습니다.
  3. [Enable]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화면에 표시되는 QR 코드를 Google Authenticator 또는 Microsoft Authenticator 등 인증 앱으로 스캔합니다.
  5. 앱에 생성된 **6자리 일회용 코드(OTP)**를 입력하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 적용 후 효과:

  • 로그인 시마다 비밀번호와 함께 2차 인증 코드 입력이 요구됩니다.
  • 새로운 기기나 위치에서의 로그인 시도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인증이 요청됩니다.
  • MFA 설정은 사용자 단위로 개별 설정 가능하며, 별도의 관리자 승인 없이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보안을 강화하고 싶다면, 모든 구성원이 MFA를 활성화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SSO 설정 시 필요한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OpsNow에서 SAML 기반 **SSO(Single Sign-On)**를 설정하려면, 고객사의 IdP(Identity Provider) 설정 화면에 OpsNow의 고유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해당 정보는 [Authentication]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SAML 필수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Assertion Consumer Service (ACS) URL
    OpsNow가 IdP로부터 SAML 응답을 수신하는 엔드포인트입니다.
    → 고객사의 IdP 설정 화면에 ACS URL 항목에 그대로 입력해야 합니다.
  • ✅ Entity ID (Service Provider Entity ID)
    OpsNow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ID로, SAML 통신에서 신뢰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고객사 IdP에서 Entity ID 항목에 복사해 넣으세요.

위 정보는 OpsNow 로그인 페이지의 [Enable SSO Login] 활성화 이후 자동으로 생성되며, 복사 버튼을 통해 손쉽게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ip: 이 정보를 IdP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SSO 연동 설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설정 완료 후에는 SSO 로그인 버튼을 통해 사용자들이 사내 인증 체계를 통해 OpsNow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SSO(Single Sign-On)는 어떻게 설정하나요?

OpsNow는 **SAML 2.0 기반의 SSO(Single Sign-On)**를 지원하여, 사내 인증 시스템(IdP)과 연동해 보다 안전하고 간편한 로그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SSO를 설정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1. [Authentication]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상단의 [Enable SSO Login] 스위치를 활성화합니다.
  3. 다음 필수 정보를 입력합니다:
    • Issuer URL (Entity ID): 고객사의 IdP에서 발급한 고유 식별자
    • SAML 2.0 Endpoint (HTTP-POST): 인증 요청을 처리할 엔드포인트 주소
    • X.509 인증서: 서명 검증을 위한 공개 키 인증서
  4. 모든 정보를 정확히 입력한 후, 우측 하단의 [Save]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OpsNow 로그인 페이지에서 SSO 버튼을 통한 접근이 가능해지며, 개별 사용자 계정 ID/패스워드 입력 없이 사내 인증 시스템을 통해 자동 로그인됩니다.

이 기능은 기업 내부 사용자 인증 일원화, 보안 강화, 계정 관리 효율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API 키는 어디서 만들고 관리하나요?

OpsNow에서는 API 키(API Key)를 통해 외부 시스템이나 자동화 도구가 클라우드 자원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PI Key] 메뉴에서 사용자는 직접 API 키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화면 우측 상단의 [신규 API 키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2. 키 이름(예: monitoring-tool-key 등)을 입력합니다.
  3. [발급]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에서 고유한 인증 키가 생성됩니다.

API 키는 사용자가 지정한 이름으로 구분되며, 발급 직후에만 전체 키 값을 복사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전한 위치에 저장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자는 발급된 API 키 목록에서:

  • 키 활성화/비활성화
  • 키 삭제
  • 키 발급자 및 발급일 확인
    등의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DevOps, 외부 모니터링 툴, 비용 분석 시스템 등과의 연동 시 보안 인증 수단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조직 변경 이력은 어디에 저장되나요?

OpsNow에서는 조직 내에서 발생한 변경 이력(Organization History)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보관합니다.

[Security > 조직 변경 이력(Organization History)] 탭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조직 이름 변경 이력
  • 구성원 추가/삭제, 권한 변경 기록
  • 작업자 정보(누가 언제 어떤 작업을 수행했는지)
  • 변경 사유 및 이벤트 타입

해당 기능은 조직 운영 기록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보안 사고 발생 시 어떤 사용자가 어떤 변경을 했는지 명확히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권한 오남용이나 설정 오류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사후 감사하는 용도로도 활용됩니다.

OpsNow는 이러한 보안 변경 로그를 자동으로 저장하며, 사용자는 이를 별도의 설정 없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성원들의 로그인 기록도 볼 수 있나요?

네, OpsNow에서는 조직 내 구성원들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 활동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Security > 멤버 활동 이력(Member Activity)] 탭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세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성원별 로그인/로그아웃 시간
  • 접속한 IP 주소
  • 활동 유형(LOGIN 또는 LOGOUT)
  • 이메일 주소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이 기능은 조직 차원의 보안 감사 및 이상 접근 탐지에 매우 유용하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퇴사자나 외부 사용자의 비정상 로그인 여부 확인
  • 특정 시간대 또는 지역에서의 의심스러운 접속 탐지
  • 팀 또는 계정별 접속 패턴 분석 및 보안 리스크 평가

보안 관리자나 조직 운영자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사용자 모니터링과 침해 대응 조치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기록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OpsNow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 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안 메뉴를 제공합니다.
📍 [Security > 내 활동 이력(My Activity)] 탭에 접속하면, 다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로그아웃 시각 (시간순 정렬)
  • 사용한 IP 주소
  • 활동 유형(LOGIN 또는 LOGOUT)

이 기능을 통해 본인의 계정이 정상적인 환경에서만 사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의심스러운 외부 접속(IP)이 감지될 경우 빠르게 보안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안 관리자는 이 로그를 바탕으로 사용자 계정 도용이나 이상 접속 탐지를 수행할 수 있어, 전사적인 클라우드 보안 감사 및 침해 대응에도 활용됩니다.

보안(Security) 메뉴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나요?

OpsNow의 보안(Security) 메뉴는 사용자와 조직의 보안 활동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사용자는 이 메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개인 활동 이력(My Activity): 사용자의 로그인, 로그아웃 기록 및 접속한 IP 주소가 시간순으로 기록되어 있어, 본인의 계정 사용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성원 활동 이력(Member Activity): 소속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언제, 어디서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했는지 기록되며, 이메일 주소와 IP 정보가 함께 제공됩니다.
  • 조직 변경 로그(Organization History): 조직 이름 변경, 멤버 추가/삭제, 권한 변경 등의 보안 관련 조직 관리 이력이 모두 저장됩니다.

이러한 기능은 이상 로그인 탐지, 계정 도용 여부 확인, 조직 내 보안 감사에 매우 유용하며, 관리자와 보안 담당자가 클라우드 환경의 사용자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서비스 이용 도중 연결된 클라우드 계정을 삭제하면, 해당 데이터도 함께 삭제되나요?

아니요. OpsNow에서는 사용자가 클라우드 계정을 삭제하더라도, 해당 계정을 통해 기존에 수집된 클라우드 사용 데이터는 즉시 삭제되지 않습니다.

✅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 클라우드 계정 삭제 시, 해당 계정에 대한 과거 비용, 리소스 사용량, 최적화 이력 등은 보관 정책에 따라 유지됩니다.
  • 이는 사용자의 회원 탈퇴 시점까지 보관되며, 이후에는 OpsNow의 표준 데이터 보관 및 삭제 정책에 따라 항목별로 순차 삭제됩니다.

✅ 계정 삭제 후 주의사항

  • 클라우드 계정을 삭제하면 해당 계정에서는 더 이상 비용 분석, 사용량 추적, 최적화 분석 등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과거 데이터는 조회만 가능하며, 신규 데이터 수집은 중단됩니다.

💡 예를 들어 AWS 계정을 삭제한 경우, 해당 계정의 과거 6개월치 사용 내역은 계속 확인 가능하지만, 이후 추가 리소스 사용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으며 예산 초과 알림 등도 제공되지 않습니다.

비밀번호는 어떻게 변경하나요?

[설정 > 프로필] 메뉴의 비밀번호 항목에서 ‘편집(Edit)’ 버튼을 클릭하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세션 타임아웃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세션 타임아웃은 최대 1일(24시간)이며, 활동 중이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수 있습니다.

이중 인증(2FA)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설정 > 프로필] 메뉴에서 2FA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이중 인증(2단계 인증)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계정 연결 시 권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어떻게 해결하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 클라우드 계정 연동 중 권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은 IAM 권한 부족, API 미활성화, 또는 필수 항목 누락에 있습니다.
클라우드 벤더별로 아래 항목을 우선적으로 확인해보세요:

✅ AWS 권한 오류 해결 방법

  • CloudFormation 스택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스택 생성 중 IAM 권한을 가진 사용자 또는 역할이 사용되었는지 검토하세요.
  • 콘솔에서 OpsNowStackRole 또는 자동 생성된 Role이 계정 내에 정상 생성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해당 역할이 ReadOnlyAccess 또는 그 이상의 정책을 포함하는지 점검하세요.

✅ Azure 권한 오류 해결 방법

  • Azure 포털에서 등록된 App에 Reader 이상 권한이 부여되어야 합니다.
  • App registration 메뉴에서 API 권한(user_impersonation) 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Client Secret이 만료되었거나 잘못된 경우, 새로 생성 후 다시 등록해 주세요.

✅ GCP 권한 오류 해결 방법

  • Billing Export가 BigQuery Dataset과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서비스 계정에 대해 BigQuery Dataset에 대한 Editor 이상 권한이 부여되어야 합니다.
  • JSON 키 파일이 최신인지, 업로드 형식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세요.
  • 필수 API들(Cloud Billing, BigQuery 등)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점검하세요.

📌 위 권한 이슈는 보안 설정 또는 권한 제한으로 자주 발생하므로, 조직 보안 정책과 연동 가이드를 사전에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류가 지속될 경우, 클라우드 관리자 권한으로 재등록하거나, 조직 내 클라우드 보안 담당자와 협의해 주세요.

여러 개의 클라우드 계정을 동시에 등록할 수 있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AWS, Azure, GCP 등 다양한 클라우드 계정을 각각 등록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특히 AWS의 경우 여러 계정을 한 번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AWS Management Account(관리 계정)을 연동하면, 해당 계정에 연결된 Linked Account(연결 계정)들이 자동으로 함께 등록되어 대규모 계정 환경에서도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Azure 및 GCP는 각 계정별로 독립적인 등록 절차를 따르며, 등록 완료 후에는 모든 계정을 통합된 대시보드에서 한눈에 분석·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멀티 계정, 멀티 조직 환경에서 리소스와 비용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조직 단위 또는 팀 단위로 비교·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GCP 계정을 OpsNow에 연동하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GCP 연동 절차 (Step-by-Step)

  1. BigQuery Dataset 생성
    GCP 콘솔에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할 Dataset을 BigQuery에 생성합니다.
  2. Billing Export 설정 및 API 활성화
    Billing 데이터를 BigQuery로 자동 전송되도록 Export를 설정하고, BigQuery 및 Cloud Billing API를 활성화합니다.
  3. 서비스 계정(Service Account) 생성
    OpsNow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가진 서비스 계정을 생성합니다.
  4. JSON 키 발급 및 다운로드
    서비스 계정에 대한 비공개 인증 키(JSON 형식)를 생성하고 안전하게 저장합니다.
  5. OpsNow 콘솔에 JSON 키 업로드
    콘솔의 [Cloud Accounts > GCP] 등록 화면에서 JSON 키를 업로드하면 연동이 완료됩니다.

📌 이 절차를 마치면 OpsNow는 GCP 비용 및 사용량 데이터를 자동 수집할 수 있으며, FinOps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Azure 계정을 연동하려면 어떤 정보가 필요한가요?

OpsNow FinOps Plus에서 Azure 계정을 연동하려면, Azure Portal에서 발급받은 인증 정보를 사전에 준비해야 합니다. 아래 항목은 OpsNow가 비용 및 리소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필요한 최소 권한 기반 정보입니다.

항목 설명
Application (Client) ID App Registration에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고유 ID
Directory (Tenant) ID Azure AD 테넌트 식별자
Client Secret Value App의 인증을 위한 비밀 키 (Certificates & Secrets에서 생성)
Billing Account ID 비용 분석을 위한 청구 계정 식별자 (Billing 메뉴에서 확인 가능)
API Access Key API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부여된 인증 키 (Enterprise Agreement 또는 MCA 구조에 따라 다름)

📍 정보 획득 경로 (Azure Portal)

  • App registration 메뉴에서 Application ID, Directory ID 생성
  • Certificates & Secrets에서 Client Secret 생성
  • Subscriptions 메뉴에서 연결할 Subscription 확인
  • Billing → Cost Management + Billing에서 Billing Account ID 확인

📌 위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면, OpsNow는 해당 Azure 계정의 사용량 및 비용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AWS 계정은 어떻게 연동하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CloudFormation 스택을 이용한 자동 연동 방식을 통해 손쉽게 AWS 계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수동 입력 없이, 권한 설정과 계정 연동이 한 번에 처리됩니다.

✅ 연동 절차 요약:

  1. [Cloud Accounts] 메뉴 > AWS 탭 선택
  2. Step-by-Step 방식 또는 Express 등록 방식 중 선택
  3. [CloudFormation Stack 실행하기] 버튼 클릭
    → AWS 콘솔이 새 창으로 열립니다
  4. 해당 콘솔에서 Stack 생성을 완료하면,
  5. OpsNow가 자동으로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계정이 등록됩니다.

✅ 주요 특징:

  • IAM Role 권한 부여, 정책 설정, 리소스 접근 권한까지 자동 구성
  • 사용자는 AWS 콘솔에서 CloudFormation Stack만 실행하면 됨
  • 수동으로 Role, Policy 정보를 복사하거나 붙여넣을 필요 없음

📌 하나의 스택 실행만으로 계정 등록 및 권한 연동이 자동으로 완료되며, 보안 정책에 따라 필요한 최소 권한만 할당됩니다.

Cloud 계정은 어디에서 등록하나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AWS, Azure, GCP 계정을 등록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량과 비용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계정 등록은 다음 절차를 통해 진행됩니다:

✅ 등록 위치:

  • 좌측 메뉴에서 [Setting] > [Cloud Accounts] 로 이동하세요.
  • 상단에서 연동할 클라우드 벤더(AWS, Azure, GCP)를 선택하세요.

✅ 등록 방식:

  • Express: 한 화면에서 빠르게 정보를 입력하는 간편 등록 방식
  • Step by Step: 각 단계별로 가이드를 따라가는 표준 등록 방식

클라우드 벤더별 등록 준비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우드 필요 정보 및 방식
AWS CloudFormation Stack 실행 후 자동 권한 부여
Azure App 등록, 권한 부여, API 키 입력
GCP BigQuery 프로젝트 및 서비스 계정 JSON 등록

계정 등록 이후, OpsNow는 클라우드 리소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FinOps 기능(비용 분석, 리소스 최적화, 예산 관리 등)을 자동 활성화합니다.

OpsNow에서 Cloud 계정을 연동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OpsNow FinOps Plus는 AWS, Azure, GCP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의 비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기업의 클라우드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클라우드 비용 관리(Cloud Cost Management) 솔루션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클라우드 계정 연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클라우드 계정을 연동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 리소스별 사용량 데이터 수집: 클라우드에서 사용 중인 인스턴스, 디스크, 네트워크 등 리소스의 상세 사용 정보를 가져옵니다.
  • ✅ 비용 발생 내역 자동 수집: Cloud Billing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별, 태그별, 계정별 비용이 자동 집계됩니다.
  • ✅ 절감 가능 항목 탐지: 예약 인스턴스 미사용, 비활성 리소스, 과다 스펙 등의 절감 후보 리소스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 ✅ 자동화된 분석 리포트 제공: 연동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별·기간별 비용 추이와 이상 지출 알림이 자동 생성됩니다.

🔍 클라우드 FinOps를 시작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계정 연동입니다. 계정이 연동되어야만 OpsNow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 맞춤형 비용 최적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탈퇴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탈퇴를 원할 경우, [설정 > 프로필] 메뉴의 ‘계정 삭제’ 기능을 통해 탈퇴할 수 있습니다.

권한은 어떻게 변경하나요?

[설정 > 멤버] 또는 [설정 > 조직] 메뉴에서 사용자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권한에 따라 [멤버]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자신과 같거나 낮은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대해서만 권한 변경이 가능합니다.

  • 소유자(Owner) → 관리자(Admin) 또는 구성원(Member): [멤버] 메뉴에서 권한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조직과 권한을 함께 지정해야 합니다.
  • 관리자(Admin) 또는 구성원(Member) → 소유자(Owner): [멤버] 메뉴에서 권한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 시 해당 사용자는 조직 및 결제에 대한 전체 권한을 갖게 됩니다.
  • 구성원(Member) ↔ 관리자(Admin): [멤버] 및 [조직] 메뉴에서 권한을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속한 조직에 따라 부여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을 여러 조직에 등록할 수 있나요?

아니요. OpsNow FinOps Plus에서는 하나의 클라우드 계정(AWS 계정, Azure Subscription, GCP 프로젝트 등)은 하나의 조직에만 단독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시스템적으로 중복 등록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 데이터 일관성 유지

  • 동일한 계정을 두 개 이상의 조직에 등록할 경우, 비용·사용량 데이터가 중복 수집되거나 통계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계정과 OpsNow 조직 간의 1:1 연동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정확한 책임과 권한 관리

  • 클라우드 계정은 보통 특정 부서, 프로젝트, 팀 단위로 관리되며, 각 조직별 역할(Role) 및 접근 권한이 구분되어야 합니다.
  • 동일 계정을 여러 조직에 등록하면 권한 충돌이나 책임 범위 혼선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사전에 차단합니다.

✅ 보안 및 정책 통제 강화

  • 조직마다 적용하는 정책(Governance), 예산(Budget), 경고(Alerts)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계정을 여러 조직에 등록하면 정책 충돌 및 보안 누수 가능성이 생깁니다.

📌 따라서 같은 클라우드 계정은 두 개 이상의 조직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여러 조직에서 특정 계정의 리소스나 비용 정보를 참고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주세요:

  • 조직 구조를 재정비하여 하나의 통합 조직 내에서 하위 그룹(Team/Project)으로 구분 관리
  • 동일한 역할의 사용자를 여러 조직에 초대하되, 클라우드 계정은 주 조직에만 연동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조직에 소속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설정 > 조직] 메뉴에서 원하는 조직에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으며,
조직별로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단, 소유자(Owner)는 모든 조직에 대한 권한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조직별 권한 설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조직은 어떻게 생성하나요?

[설정 > 조직] 메뉴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조직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조직을 생성할 때는 조직 이름을 입력해야 합니다.

AWS 계정 등록 시 어떤 권한이 적용되며, 어떻게 관리되나요?

OpsNow FinOps Plus는 AWS 계정 등록 시 CloudFormation 템플릿(Stack)을 통해 필요한 권한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이는 고객의 운영 부담을 줄이고, 동시에 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을 기반으로 비용, 리소스, 정책 정보 분석에 필요한 최소 권한만 요청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CloudFormation 기반 자동 권한 구성

OpsNow에서 제공하는 AWS CloudFormation 스택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 CrossAccountRole: OpsNow가 고객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 IAM 역할
  • 정책(Policy) 세트: 비용 조회, 리소스 모니터링, 태그 분석, CloudFormation 리소스 접근 등 기능별 정책이 세분화되어 포함됨
  • External ID 기반 AssumeRole: 보안 강화를 위한 외부 식별자 조건 설정 포함

📂 주요 권한 범위 예시

  • ce:Get, ec2:Describe, cloudwatch:ListMetrics** 등 비용 및 모니터링 API
  • s3:GetObject, s3:ListBucket 등 비용 보고서 수집을 위한 S3 접근
  • cur:DescribeReportDefinitions, cur:PutReportDefinition 등 Cost & Usage Report 설정
  • iam:Get, iam:List / autoscaling:Describe*** 등 운영 인프라 분석을 위한 읽기 권한
  • tag:GetTagValues, tag:UntagResources 등 태그 기반 리소스 분류 기능 포함

📌 모든 권한은 리소스 생성 후 OpsNow가 필요로 하는 범위 내에서만 동작하며, 실행 권한이나 삭제 권한은 요청하지 않습니다.

🔍 실시간 권한 확인 및 관리

  • 등록된 AWS 계정의 권한은 [Settings > Cloud Accounts]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객은 AWS 콘솔에서 해당 IAM 역할과 정책을 직접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 OpsNow는 고객사의 보안 기준에 맞춰 필요한 경우 맞춤형 권한 설정도 지원합니다.
    예: 특정 서비스 제외, 정책 범위 제한 등

📌 CloudFormation을 통한 자동화된 권한 구성은 설정 오류를 줄이고, 안전하고 투명한 클라우드 연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보안과 운영 모두를 고려한 접근 방식으로, 클라우드 비용 및 리소스 통합 관리에 최적화된 구조입니다.

계정 등록 후 데이터가 확인되기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데이터 수집은 최대 24시간 이내에 완료됩니다.

수집이 완료되면, [개요] 메뉴에서 등록된 계정과 데이터 수집 상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케팅 수신을 거부하고 싶어요.

[설정 > 프로필] 메뉴에서 마케팅 수신 동의 스위치를 꺼주시면, 마케팅 관련 안내 메일 및 알림 수신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AutoSavings는 보안이나 계정 권한 측면에서 어떤 요구사항이 있나요?

AutoSavings는 고객의 AWS 비용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서비스 사용을 위해 필요한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AWS 계정 권한 위임 방식

  • AutoSavings는 AWS 계정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IAM 역할(Role)을 통한 권한 위임(Delegation)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사용자는 OpsNow에서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역할 ARN을 연결함으로써, 안전하게 계정 연동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 2. 필요 권한: 읽기 전용 권한(Read-Only)

  • AutoSavings는 비용 분석과 추천을 위한 ReadOnlyAccess 권한만으로도 대부분의 기능이 작동합니다.
  • 해당 권한을 통해 다음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EC2, RDS, Fargate 등 AWS 리소스 사용 내역
    • Billing 및 Cost Explorer API 데이터
    • 기존 RI 및 SP 약정 내역

✅ 3. 약정 구매 및 리셀 기능을 위한 추가 권한 (선택사항)

  • 자동 구매/재판매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 추가 권한이 필요합니다:
    • ec2:PurchaseReservedInstancesOffering
    • ec2:ModifyReservedInstances
    • ec2:SellReservedInstances

※ 위 권한은 고객의 승인을 통해 명시적으로 부여되며, 고객은 언제든지 권한 범위를 검토하거나 철회할 수 있습니다.

✅ 4. 보안 인증 및 접근 관리

  • OpsNow는 AWS STS(Secure Token Service) 기반의 단기 세션 토큰을 사용하여, 민감한 자격 증명 노출 없이 안전하게 연동됩니다.
  • 사용자 인증 및 접근은 OpsNow 플랫폼 내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에 따라 제한되며, 조직 관리자만이 연결 및 변경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AutoSavings는 어떤 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하나요?

현재 AutoSavings는 Amazon Web Services(AWS) 전용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AWS 환경에서 발생하는 클라우드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중심으로 지원합니다:

✅ 지원 대상 및 기능:

  • Reserved Instances(RI) 구매 및 관리 자동화
  • Savings Plans(SP) 최적 활용 및 조정
  • RI 리셀(재판매) 자동화 기능을 통한 비용 회수
  • AWS 사용량 분석 기반 약정 최적화 전략 수립

AutoSavings는 AWS의 약정 기반 과금 모델을 최대한 활용하여, 온디맨드 대비 높은 절감 효과를 제공합니다.
특히 AWS에서 약정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거나, 리소스 낭비가 잦은 환경에 효과적입니다.

🔄 향후 계획:

현재는 AWS에만 최적화되어 있지만,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GCP) 등 다른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에 대한 지원도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AutoSavings는 클라우드 비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나요?

네, AutoSavings는 클라우드 사용량과 비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최신 상태를 반영한 비용 절감 제안을 제공합니다.

AWS 환경에서 생성되는 사용량과 과금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자동 수집하며, 이를 기반으로 절감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식별하고 최적화 방안을 제시합니다. 사용자는 별도의 수작업 없이, 항상 최신 데이터에 기반한 절감 리포트를 받아볼 수 있으며, 실시간 클라우드 비용 가시성과 절감 기회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AutoSavings는 정적인 보고서가 아닌, 동적인 실시간 최적화 기능을 통해 더욱 정교하고 신속한 클라우드 비용 관리를 지원합니다.

AutoSavings를 사용하려면 별도로 설정해야 할 것이 있나요?

아니요, 별도의 복잡한 설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AutoSavings는 클라우드 계정 등록 후 구독 활성화만으로 자동으로 시작되며, 고객은 추가 작업 없이 AWS 비용 절감 효과를 바로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특정 절감 제안 중 일부는 실제 구매 또는 약정 변경이 수반되므로, **사전에 고객의 승인(Approval)**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OpsNow 콘솔을 통해 승인 요청 알림을 확인하고 적용 여부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AutoSavings는 설정 부담 없이 빠르게 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통제권을 유지하면서 최적화된 비용 절감을 제공합니다.

RI/SP 최적화는 어떤 주기로 수행되나요?

AutoSavings는 AWS 사용 패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이를 기반으로 예약 인스턴스(RI) 및 세이빙 플랜(SP)에 대한 최적화 전략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최신 사용량 데이터를 분석해 매주 단위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자동으로 재조정합니다:

  • 구매 추천 (RI/SP 신규 제안)
  • 기존 약정의 변경 또는 조정
  • 남는 약정의 리셀(재판매) 전략 제시

이와 같은 주간 최적화 주기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우드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AutoSavings는 기존의 Savings Plans 또는 Reserved Instances 관리 툴과 무엇이 다른가요?

기존의 클라우드 최적화 툴은 대부분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거나 최적화 권고(recommendation)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사용자가 직접 구매 결정과 실행을 해야 하며, 실제 절감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반면, AutoSavings는 단순한 분석 도구를 넘어, 실제 절감 성과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화 기반 서비스입니다.
고객의 AWS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약정(Reserved Instances 및 Savings Plans)을 자동으로 구매하거나 리셀하며, 직접적인 비용 절감을 실현합니다.

또한, AutoSavings는 성과 기반 과금 모델(Pay-as-you-save)을 채택하고 있어, 절감이 발생한 경우에만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즉, 고객이 실질적인 절감 효과를 체감할 수 있으며, OpsNow 역시 절감 성과에 대한 책임과 리스크를 함께 집니다.

이러한 차별화된 접근 방식은 기존 툴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며,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파트너로서의 AutoSavings만의 경쟁력입니다.

RI(예약 인스턴스) 또는 SP(세이빙 플랜) 구매는 AutoSavings가 자동으로 진행하나요?

네, AutoSavings는 고객이 직접 AWS Reserved Instances(RI)나 Savings Plans(SP)를 구매하거나 재판매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약정 전략을 실행합니다.

OpsNow의 AutoSavings는 고객의 클라우드 사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절감 효과가 높은 약정을 자동으로 구매하거나 불필요한 약정을 리셀(재판매)합니다.
이 과정은 완전 자동화되어 있어, 사용자는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최적화된 비용 구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AWS 약정 구매에 익숙하지 않거나, 약정 관리에 시간과 리소스를 들이기 어려운 기업에게 가장 효율적인 비용 절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AutoSavings에서 RI 재판매를 위해 판매자로 등록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AutoSavings를 통해 예약 인스턴스(RI)를 자동으로 최적화하고 남는 약정을 재판매(Resell)하려면, 사용자는 먼저 AWS RI 마켓플레이스에서 공식적으로 판매자 등록(Seller Registration) 을 완료해야 합니다. OpsNow 콘솔 내에서 별도 [RI 재판매 등록] 버튼이나 기능은 제공되지 않으며, 등록은 AWS 포털에서 직접 진행해야 합니다.

✅ 판매자 등록 절차 (요약)

  1. 판매자 등록 이유
    • AWS가 판매 수익을 송금하고 세금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판매자는 미국 은행 계좌와 세무 정보 등록이 필요합니다.
  2. 등록 절차
    • AWS의 Reserved Instance Marketplace Seller Registration 페이지에 로그인
    • 미국 은행 계좌 정보 등록 (Manage Bank Account 메뉴에서)
    • 세무 인터뷰(Tax Interview) 작성 및 제출
    • 모든 절차가 완료되면 AWS로부터 승인 이메일 수신
  3. OpsNow 연동
    • AWS에서 판매자 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계정은 AutoSavings 인벤토리 화면에 RI/SP가 자동으로 표시되며,
      등록된 약정이 최적화 대상에 포함되어 자동 재판매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 중요 안내

  • OpsNow는 AWS 계정 내 등록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므로, 사용자가 따로 OpsNow에 등록 사실을 통보할 필요는 없습니다.
  • 단, 판매자 등록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AutoSavings에서 재판매 기능이 적용되지 않으며, 약정 낭비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utoSavings는 어떤 서비스인가요?

AutoSavings는 Amazon Web Services(AWS) 환경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클라우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성과 기반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의 클라우드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합니다:

✅ 주요 기능:

  • RI(Reserved Instances) 및 SP(Savings Plans) 자동 최적화
    사용량에 맞는 약정을 자동으로 구매 또는 조정하여, 온디맨드 대비 낮은 단가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합니다.
  • 불필요한 약정의 자동 리셀(재판매)
    사용하지 않는 약정은 AWS RI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자동으로 재판매되어, 낭비를 줄이고 비용을 회수합니다.
  • 실시간 비용 분석 및 최적화 전략 수립
    클라우드 사용량 변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최적의 절감 전략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과금 모델:

AutoSavings는 Pay-as-you-save, 즉 절감이 발생한 경우에만 수수료를 부과하는 성과 기반 과금 정책을 적용합니다.
절감이 없으면 수수료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용 부담 없이 클라우드 최적화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데모를 보고 싶어요.

데모를 요청하시려면 데모 신청 페이지에 기본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

OpsNow의 클라우드 전문가가 직접 연락을 드려 안내해드립니다.

Can't find what you're looking for?

Trusted by global teams to cut costs without compromise

OpsNow’s AutoSavings helped us seamlessly switch from Reserved Instances to Savings Plans, giving us the flexibility to scale.
Their blend of ML automation and hands-on support consistently maximizes our savings—even during unexpected changes.
"We only pay when we actually save."
OpsNow helped Juvo identify and reduce RDS costs, allowing us to fine-tune our databases and eliminate unnecessary overhead.
"Last month, we saved 11% on our AWS bill using AutoSavings."
I strongly recommend using it.
OpsNow is a valuable tool to help us gain control over multi-cloud environments, optimize costs, and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The AutoSavings feature helped us save 10% on our monthly cloud cost."